물가와 실업, 그 상관관계의 오해: 필립스 곡선과 스태그플레이션
경기 흐름과 물가의 상관관계를 설명할 때 가장 자주 언급되는 개념 중 하나는 ‘필립스 곡선’입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이 곡선이 잘 맞지 않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스태그플레이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두 개념이 어떤 의미를 갖고 있으며, 실제 경제에서는 어떻게 충돌하는지 설명합니다.
필립스 곡선 (Phillips Curve)
필립스 곡선은 실업률과 임금상승률(또는 물가상승률) 사이에 반비례 관계가 존재한다는 경험적 이론입니다.
1958년 영국의 경제학자 필립스(W. Phillips)는 1861년부터 1957년까지의 영국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실업률이 낮은 해에는 임금상승률이 높고, 실업률이 높을 때는 임금상승률이 낮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이는 경제정책 입안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했습니다:
- 실업률을 낮추려면 물가상승을 감수해야 한다
- 물가안정을 원한다면 실업률 상승을 받아들여야 한다
이러한 필립스 곡선은 일정 기간 동안 정책의 기준으로 사용되었으나, 현실에서는 예외가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 (Stagflation)
스태그플레이션은 필립스 곡선의 한계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이 개념은 **경기침체(=스태그네이션)**와 **물가상승(=인플레이션)**이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1970년대 두 차례의 오일쇼크를 계기로 전 세계가 경험한 것이 바로 이 스태그플레이션입니다.
주요 특징:
- 경제는 침체 상태(성장률 둔화, 실업률 증가)
- 동시에 물가는 지속 상승 (공급 충격, 원자재 가격 상승 등)
이러한 현상은 필립스 곡선이 예측하는 구조, 즉 **“실업이 높으면 물가가 안정된다”**는 관계가 깨지는 상황입니다.
왜 함께 알아야 하는가?
필립스 곡선은 단순히 이론상의 균형 관계를 설명하는 도구이며, 실제 경제는 다양한 외생 변수(공급충격, 정책 실패 등)로 인해 복잡하게 작동합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은 이 이론의 예외를 실질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로, 물가와 실업이 함께 오를 수 있음을 증명합니다.
결국 정책입안자는 단일 지표만 볼 것이 아니라,
- 공급 요인과 수요 요인,
- 외부 충격,
- 기대 인플레이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보여줍니다.
요약
필립스 곡선 | 실업률과 물가상승률 사이의 반비례 관계 | 완전고용과 물가안정은 상충 가능성이 있음 |
스태그플레이션 | 경기침체와 물가상승이 동시에 나타나는 현상 | 정책 대응이 어려운 복합위기 상황을 의미 |
'금융 및 증시 Follow'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슬라의 로봇, 미국의 기술 추격 카드가 될 수 있을까? (0) | 2025.05.04 |
---|---|
워렌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CEO에서 물러난다! – 한 시대의 종언 (2) | 2025.05.04 |
꼭 알아야하는 금융경제 단어 4탄: 인플레이션 갭& 총수요관리정책 (0) | 2025.05.03 |
꼭 알아야하는 금융경제 단어 3탄: 보호무역주의&장기침체 (1) | 2025.05.03 |
무역협상 기대감이 경기침체 우려를 압도한다 – 바클레이스 분석 (1) | 2025.05.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