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및 증시 Follow

메타, 1분기 실적 ‘어닝 서프라이즈’…AI 투자 확대와 광고 회복이 이끌었다

by 부의 기초 2025. 5. 1.
반응형

메타(Meta Platforms, 티커: META)가 2025년 1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광고 수익 회복과 AI 인프라 투자 확대를 바탕으로 매출과 순이익 모두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며, 기술주 강세 흐름을 다시 견인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메타의 주요 실적 지표, AI와 광고 부문의 변화, 향후 전망과 투자 전략까지 함께 정리해보겠습니다.


1. 1분기 실적 요약 – 매출과 이익 모두 '서프라이즈'

메타는 이번 분기 매출 388억 달러, 주당순이익(EPS) 4.71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월가 컨센서스였던 매출 365억 달러, EPS 4.32달러를 상회하는 수준입니다.

  • 매출 성장률: 전년 동기 대비 +27%
  • 광고 매출: 전체 매출의 90% 이상 차지, 본격 회복세
  • 월간 활성 사용자(MAU): Facebook, Instagram, WhatsApp 등 전 제품군에서 성장

실적 발표 직후 메타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급등했으며, 2024년 이후 지속된 상승 랠리를 이어가는 중입니다.


2. AI 인프라 투자 본격화…Meta의 다음 승부수

CEO 마크 저커버그는 이번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AI는 메타의 핵심 우선순위이며, 모든 제품의 중심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를 위해 메타는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 AI 트레이닝용 데이터센터 확장
  • NVIDIA 등 고성능 GPU 대량 도입
  • 자사 AI 모델 'Llama' 개발 및 공개
  • 광고 타게팅 고도화 + 고객 응대 자동화 기능에 AI 탑재

이러한 AI 투자 확대는 단기적으로는 비용 증가 요인이지만, 광고 효율 개선과 신사업 기반 확장 측면에서 매우 긍정적인 포석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3. 광고 시장 회복…'광고 매출’ 본격 반등 시동

최근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 속에서도, 메타의 광고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6% 성장하며 빅테크 중 가장 높은 회복률을 보였습니다.

이는 특히 중소기업 대상 퍼포먼스 마케팅 회복과, AI 기반 광고 타게팅 기술 개선이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또한 Reels(릴스) 포맷과 Instagram, WhatsApp 비즈니스 메시지 광고 등이 실적 기여도를 높이고 있어, 광고 매출 다변화도 긍정적인 흐름으로 평가됩니다.


4. 메타버스 부문은 여전히 적자…그러나 전략 유지

한편 메타버스 관련 사업부인 Reality Labs는 여전히 적자 폭이 확대되었습니다.
1분기 약 40억 달러의 손실을 기록했지만, 메타는 여전히 VR/AR 및 메타버스 기술에 대한 중장기 투자 기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단기 수익성보다 미래 시장 선점을 위한 ‘장기 베팅’ 성격이 강하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의 시선은 여전히 분분합니다.


5. 향후 전망 – AI로 재정의되는 메타의 성장 구조

실적 발표 이후 발표된 가이던스(2분기 전망)도 긍정적입니다.
메타는 다음 분기 매출 가이던스를 425억~445억 달러로 제시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최대 20% 이상 성장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AI 기술이 본격적으로 메타의 콘텐츠 추천, 광고, 고객 서비스 등에 적용되고 있는 만큼, 앞으로 ‘플랫폼 기업’에서 ‘AI 기업’으로의 정체성 전환도 기대되는 상황입니다. 

 

 

반응형

댓글